연봉 세후 실수령액 계산 공식
세후 실수령액은 다음의 공식을 통해 계산됩니다:
실수령액 = 연봉 - (소득세 + 지방소득세 + 4대 보험료)
연봉이 5,000만 원인 경우를 예로 들어 계산해 보겠습니다:
- 소득세: (5,000만 원 × 24%) - 522만 원 = 678만 원
- 지방소득세: 678만 원 × 10% = 67.8만 원
- 4대 보험료: 국민연금 225만 원, 건강보험 223만 원, 고용보험 45만 원
총 공제 금액: 678만 원 + 678,000원 + 493만 원 = 약 12,388,000원
실수령액: 5,000만 원 - 12,388,000원 = 약 37,612,000 원
연봉 세후 실수령액 모의계산-세율은 세법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습니다
연봉 세후 실수령액 계산기
연봉 (₩) | |
---|---|
국민연금 (4.5%) | - |
건강보험 (3.545%) | - |
장기요양보험 (건강보험 12.95%) | - |
고용보험 (0.9%) | - |
소득세 | - |
지방소득세 (소득세 10%) | - |
부양가족 수 | |
세액공제 | - |
총 공제액 | - |
세후 실수령액 | - |